티스토리 뷰

지금은 익숙해졌지만 오래 전 군대를 다녀오고 알고 있던 고등학교들이 이름이 다 바뀌었을 때는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교육정책에 따라 일반고를 제외하고는 특성화고등학교 종류와 유형등으로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 종류에는 이전 종합고와 특목고까지 포함하여 구분이 됩니다. 또한 대안학교도 특성화 교육을 실시를 하고 있습니다.



전국의 모든 학교에 대하여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현황안내를 참고하면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를 포함하여 일반고와 특목고 중에서 마이스터고에 해당을 하거나 계열 구분에서 상업과 공업, 농업 그리고 가사실업, 수산해운, 상업정보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대안학교는 전국에서 10개의 공립학교와 22개의 사립학교를 합쳐서 32개의 학교가 운영이 되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별도 운영이 되거나 통합하여 운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성화중학교는 전국 14개의 학교가 운영 중이며 경기도에 5곳, 전라남도에 3곳, 강원과 전북에 2곳 그리고 광주와 경상남도에 각각 한 곳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대안교육을 하는 특성화고등학교는 전국 25곳으로 경기도와 경상남도의 4곳을 포함하여 대부분 지역에서 1곳 이상이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외국어고등학교는 전국에 31개의 학교가 있습니다. 서울에서 운영 중인 6개의 학교를 포함하여 각 지역마다 1개 이상의 학교가 있습니다.



국제고등학교는 전국에 7개의 학교가 있으며 경기도 3곳을 포함하여 서울과 부산,인천 그리고 세종시에 각각 1개의 학교가 운영 중입니다. 특성화고등학교 종류에서 계열구분을 확인하면 학교 특성을 쉽게 이해가 쉽습니다. 특성화고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이 목적이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회의 인식문제로 인하여 아직까지는 기대한 만큼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느끼지만 점점 인식이 개선되면 좋은 교육 정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댓글